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eact
- JavaScript
- vite
- 에세이
- 합성 컴포넌트
- radixui
- 리액트
- 오블완
- server component
- 자바스크립트
- Webworker
- CustomHook
- 리팩토링
- CRA
- 티스토리챌린지
- frontend
- MicroFrontEnd
- 이것저것
- virtaullist
- TypeScript
- context.api
- 클린코드
- provider 패턴
- 프론트엔드
- 회고
- MFA
- sharedworker
- Web
- 웹워커
- 아키텍처
- Today
- Total
Lighthouse of FE biginner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회고 본문
5월 4일 대면 시험으로 AWS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자격증 취득 과정을 회고하고 공유하고자 작성합니다.
AWS 자격증 종류
AWS에는 여러 가지 자격증이 있습니다.
가장 기초가 되는 Practitioner 자격증부터 시작해서 가장 전문적인 Specialty 자격증까지 존재합니다.
AWS에서는 Practitioner 자격증은 3~6개월가량의 AWS 경험을 권고하고, 다음 단계인 Associate 단계에서는 1년 이상의 경험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Associate 단계부터는 자격증이 아키텍트, 운영, 개발로 나누어져 있고 시험 문제의 방향성도 달라지니 본인의 직무에 가장 유사한 자격증에 응시하게 됩니다.
제가 응시한 Solutions Architect 자격증은 AWS의 자격시험에서 가장 많이 도전하는 자격증입니다. 100여 개가 넘는 AW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인프라를 설계하는 내용을 물어봅니다.
AWS SAA
현재 SAA 자격증 문제 버전은 SAA-C03입니다. 2022년 11월에 C03으로 전환이 됐고 C04가 되면 덤프 문제들이 수집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C04로 버전이 변경되기 전에 시험을 치루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 버전이 바뀔 때 모든 문제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자격증 시험은 150불입니다. 한화로 19만 7천 원을 결제했습니다. 떨어지면 20만 원 돈을 날리는 것이기 때문에 목숨을 걸고 시험을 봤습니다. 만약 아쉽게 떨어진다면 50% 할인 바우처를 받기 때문에 75불의 비용으로 재 시험을 치를 수 있게 됩니다.
시험 문제는 65문제가 나옵니다. 이 중 5문제는 시험 점수에 들어가지 않는 문제라고 들었습니다. 시험 시간은 130분을 받았고 어떤 언어로 문제를 풀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영어, 한국어) 한국어를 선택한 경우 AWS의 입장에서 외국어이기 때문에 추가시간을 신청할 수 있다고 들었지만 저는 따로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시간은 개인 차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널찍하다고 느꼈고, 80분을 남겨 놓고 문제를 다 풀고 아리송한 문제를 검토하고 제출했습니다.
시험 방식은 대면 시험과 온라인 시험이 있습니다. 대면 시험은 지정된 센터에 예약을 하여 방문하는 방식이고, 온라인 방식은 본인의 집에서 시험을 치르는 방식입니다. 온라인 시험은 집에서 보기에 편할 수 있지만 외부 소음이 들리면 안 되고 카메라로 방 전체를 감독관에게 보여주는 등 까다로운 절차가 있어서 대면 시험으로 응시했습니다.
https://aws.amazon.com/ko/certification/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
문제 예시
대부분 아래와 같이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어떤 AWS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지 나옵니다. 간단한 문제는 AWS의 어떤 서비스를 사용해야 할지 바로 선택할 수 있지만 AWS 서비스를 자세하게 이해해야 하는 문제들도 나옵니다.
선수 지식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근무하고 있지만 인프라와 클라우드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대학 과정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과목을 열심히 공부했고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개발자 분과 서버 인프라 AWS를 이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 설계하는 과정에 참여하며 Route53, ACM, VPC, EC2, S3, RDS, ALB에 대한 경험이 있었고, 프론트엔드 프로젝트 배포를 위해 S3, CloudFront, EC2를 직접 설정해 본 경험이 있었습니다.
이전 회사에서는 게임 라이브 서버 배포를 위한 설계와 구현 과정에 참여하여 DR을 고려해 멀티 리전에서 Route53, ACM, VPC, Aurora DB, ALB, EC2, AMI, Auto Scaling, Elastic Cache, S3, CloudFront 을 다뤄봤습니다.
어느 정도 서비스를 활용하고 부딪힌 경험으로 작년 12~1월 약 2달을 공부를 했었고, 바쁘다는 핑계로 시험을 치르지 않다가 4월 한 달을 실전 문제 풀이(덤프)를 풀면서 공부하여 5월 4일 시험에 합격했습니다.
공부 과정
덤프 위주로 공부를 하는 방법도 있지만 다른 문제가 나왔을 때 서비스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문제에 대응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인프런에서 서비스를 설명해 주는 강의를 먼저 들었습니다.
인프런 강의에서 SAA 자격증에서 다루는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설명해 주고 강의 이후에도 교안을 통해서 여러 번 복습할 수 있어서 유용했습니다. 30 문항씩 있는 실전 문제 풀이 16회 차도 함께 제공하고 문제 풀이도 강의를 통해 해주므로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도 알 수 있는 강의입니다. 저는 문제 풀이는 듣지 않았고 실전 문제 풀이 16회 차를 3회 독하면서 문제 감각을 키웠습니다.
AWS를 처음 접하는 분이라면 AWS에서 제공해 주는 무료 강의를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AWS 서비스들에 대한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고 한국어 버전도 있어서 자격증 취득에 앞서 선수 지식 획득에 유용합니다.
https://aws.amazon.com/ko/training/digital/
Udemy에서도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데 외국 강사분께서 강의를 해주고 한국어 자막을 달아주는 방식입니다. 해당 강의는 인프런 강의보다 저렴해 많은 분들께서 수강하고 계십니다.
덤프를 직접 구매해서 공부하지는 않았지만 아래 덤프 사이트들의 적중률이 높다고 합니다. 한국어 버전과 영문 버전이 있습니다. 문제 풀이 번역이 약간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크리티컬 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https://testking.itexamdump.com/SAA-C03-KR.html
https://www.examtopics.com/exams/amazon/aws-certified-solutions-architect-associate-saa-c03/
https://blog.naver.com/imaokiro/223020677877
후기
AWS에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어렵지 않게 취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주말 1-2시간만 투자해서 높은 점수는 아니지만 1000점 만점에 849점으로 무난히 통과했습니다. 다음엔 Developer - Associate 자격증을 취득할 생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A 강의를 수강하고 (5) | 2024.09.28 |
---|---|
2024년 상반기 회고 (15) | 2024.07.19 |
Vite 마이그레이션 회고 (0) | 2024.07.02 |
[클린코드 리액트] 강의를 수강하고 (1) | 2024.06.15 |
나는 리액트를 잘 쓰고 있을까? (1) | 2024.06.06 |